[홍해 및 후티반군 동향]
1. 홍해 동향
ㅇ (후티 언론, 이집트‧터키 선박들의 이스라엘 항로 운항 보도) 8.3(일) Saba 통신은 다수의 후티반군 연계 언론들이 위성 기반 항로 추적 사이트의 자료를 인용하여, 이집트 및 터키 선박들이 후티반군이 금지한 이스라엘의 하이파, 아쉬도드 항구를 여전히 운항 중에 있다고 함.
- 親후티 매체들은 8.2-3 사이 약 13척의 선박이 이스라엘 항구에 입항하였다고 보도함.
※ 동 보도에는 정확한 선명과 출입항지도 명시되었는데, 공개된 선박 명단에는 ▲MSC OSCAR(컨테이너선), ▲MAERSK NARMADA(차량운반선), ▲NECO K, ▲MSC TUXPAN(컨테이너선), ▲MAERSK JABAL(컨테이너선), ▲MARLA TIGER(컨테이너선), ▲YM WINNER(컨테이너선), ▲AQUIS PERLA(벌크선), ▲PARDUS(벌크선), ▲HALO(화물선), ▲NOVA CORALIA(시멘트 탱크선), ▲LI DER BULU(차량운반선), ▲MSC TUXPAN) 등이 있음.
ㅇ (아비얀 주 근해, 아프리카계 이주민 탑승 선박 침몰 및 대규모 사상자 발생) 8.3(일) 아비얀 주 근해 Zinjibar 해안에서 아프리카계 이주민 약 150명을 태운 선박이 강풍에 침몰하였으며, 현재까지 12명 생존, 최소 76명 사망, 남은 인원들은 실종 상태로 알려짐.
ㅇ (필리핀 외교부, 억류 선원 석방을 위한 고위급 외교 협상 진행 중) 8.4(월) Yemen Online 언론에 따르면, 필리핀 외교부는 지난 7.7 홍해에서 침몰하여 후티반군에 억류된 Eternity C호 자국 선원들의 안전한 석방을 위해 오만을 통한 고위급 외교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함.
- 관련하여 주사우디 필리핀 대사관은 GCC 중재자들과 긴밀히 협력 중임을 밝히고, 국제 해운 관련 단체들은 국제 해양법과 인권 의무를 근거로 선원들의 무조건적인 석방을 촉구하고 있음.
ㅇ (그리스, 켄타우로스 방어 시스템 후티 드론 요격 성공) 8.6(수) 그리스 국방부는 자국이 개발한 켄타우로스(Kentauros) 방어 시스템이 홍해에서 후티반군이 발사한 드론 2기를 성공적으로 요격하였음을 발표함.
2. 후티반군 동향
가. 입장 발표 및 통제 지역내 정세
ㅇ (후티, 바아스당 지도부 인사 납치 보도) 8.6(수) Al Nkkar 언론은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 Rami Abdel Wahab Mahmoud 예멘 아랍사회주의 바아스당(Yemeni Arab Socialist Ba’ath Party) 중앙지도부 위원이 국제 평화 관련 행사에 참석한 이유로 후티 보안국에 납치되었다고 함.
- Rami 의원은 에멘의 안정성을 위한 제네바 회의에 참석했으며, 동 회의의 참석이 후티 측의 분노를 산 것으로 알려짐.
- 바아스당은 동 납치에 대해 강력 규탄하고, 후티 정보국이 동 인물의 안전에 대한 전적인 책임이 있음을 주장함.
ㅇ (후티, 이스라엘 항구 출입항 금지 위반 64개 해운사 제재 부과) 8.7(목) 후티반군은 이스라엘에 대한 해상 봉쇄를 위반한 해운사 64곳에 대한 제재를 부과하고, 이들 기업의 선단이 사정권 내에 있을 경우 언제든 타격할 수 있음을 경고함.
- 후티의 인도주의작전조정센터(HOCC)는 동 기업들에 대한 제재는 계속될 것이며, 기업의 국적과 무관한 조치임을 부연함.
- Lloyd’s List Intelligence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홍해를 통항한 선박 대부분은 중국계, 그리스계였으며, 각각 27%, 18% 비중을 차지함.
※ 후티측은 제재 대상인 64개 해운사의 명단을 언급하지 않았으며, 다만 예멘의 Al-Araby Al-Jadeed 신문은 불명의 후티측 정보를 인용하여 MSC, Maersk, CME, COSCO, Hapag, One, Evergreen 등 대형 해운사가 포함되어 있다고 보도함.
- 우리 해운사가 동 64개 명단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는 확인될 경우 추보 예정임.
ㅇ (후티 지도자, 조직내 부패 발언 논란) Almaswqea 언론에서 Sheikh Sultan al Sama’i 후티반군 저명 지도자는 후티반군이 약 1,500억 달러(약 208조 7,250억 원) 규모의 부패를 저질렀다고 폭로하고, 최고정치위원회(SPC)는 형식에 불과하여 실질적 조치는 부패한 지도자들이 내린다고 주장함.
- 동 발언은 후티반군 지지자 및 예멘 국민들 사이에서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나. 후티반군 공격
ㅇ 후티반군은 지난 한 주간 대이스라엘 공격을 지속 감행함.
- 8.3(일) 무인기 3기를 이용하여 텔아비브, 아슈켈론, 하이파를 공격 발표(→ 이스라엘 방위군(IDF), 요격 성공 발표)
- 8.5(화) (익명의) 탄도미사일 발사(→ IDF, 요격 성공 발표)
- 8.8(금) 무인기 3기 이용, 벤구리온, 비르셰바, 아슈켈론 공격 발표(→ IDF, 요격 성공 발표). 끝.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