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외안전여행정보입니다.
최근 정부 기관을 사칭한 보이스 피싱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사칭형 보이스피싱이 올해 상반기 동안 전체 보이스 피싱 범죄 피해액의 약 76%를 차지했을 정도라는데요.
외교부 김진영 사무관 연결해 관련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사무관님 안녕하세요.
해외에서도 외교부를 사칭한 보이스 피싱 범죄가 한국인을 대상으로 계속 발생하고 있다고요?
[외교부 사무관]
네, 그렇습니다.
외교부 영사콜센터와 재외 공관, 재외동포청 등 정부 기관을 사칭한 전화나 이메일 피싱 범죄가 계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북미와 유럽, 일본 지역을 중심으로 각국에서 사례가 잇따르고 있어 주의가 필요한데요.
사칭범들은 피해자에게 '마약 관련 범죄에 연루됐다'거나 '본인 명의 계좌가 범죄에 사용돼 구속영장이 발부됐다', '여권이 제재됐다' 등으로 속여 피싱 앱이나 가짜 웹사이트 접속을 유도하고 개인정보를 빼내 송금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실제 기관의 발신 번호를 도용하거나, 정부기관 홈페이지와 유사한 가짜 웹사이트를 제작해 속이는 경우도 있어 이런 수법에 속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화번호나 웹사이트가 실제와 똑같다면 나도 모르게 속는 경우도 있을 것 같은데요,
이러한 수법에 속지 않도록 알아두면 좋을 내용이 더 있을까요?
[외교부 사무관]
네, 외교부를 비롯한 대한민국 정부기관은 전화나 문자메시지, 이메일 등으로 개인정보나 금전 송금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을 반드시 기억하셔야 합니다.
만약 보이스 피싱으로 의심된다면 일단 전화를 끊고 영사콜센터나 해당 지역 재외공관에 연락해 사실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문자나 이메일에 포함된 의심스러운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해가 발생했다면 거주지역 관할 경찰서 등 관계기관에 곧바로 신고하시고,
해외에서 영사 조력이 필요하다면 영사콜센터로 연락해 도움받으시기 바랍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