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타리카 안전여행 길잡이
2025.6.1. 현재
1. 코스타리카 여행시 안전 개요
한국에서 코스타리카는 행복지수가 매우 높은 수준이고 거주하기에 좋은 국가로 알려져 전반적으로 안전하고 범죄가 일어나지 않는 곳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중남미지역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치안이 양호한 국가로, 한국과 비교시 살인·마약·강도 등의 범죄 등 사건사고가 많아 우리 국민의 안전하다는 인식과 현실 사이에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코스타리카를 여행하시는 우리 국민께서는 아래의 내용을 참고로 하여 각별히 유의하여 주시길 당부드립니다. 미소를 짓는 코스타리카 사람들과 함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커피향이 넘쳐나는 코스타리카를 안전하게 여행하시면서, 코스타리카 사람이 애용하는 인사말인 ‘뿌라 비다(Pura Vida, 순수한 삶)’처럼 긍정적이고 즐거운 기억으로 가득하시길 기원합니다.
2. 코스타리카에서 긴급상황시 주요 연락처
※ 한국에서 연락 시 +506 국가번호 입력 필요
ㅇ 응급의료 : 911
ㅇ 범죄신고 : 911 또는 2586-4000(경찰서)
ㅇ 화재신고 : 911 또는 2547-3700(소방서)
ㅇ 재난대응센터 : 911 또는 2210-2828
ㅇ 대사관 연락처(평일 08:30-17:00) : +506-2588-0852, 0848, 0804, 0845
- 대사관 주소 : 400m norte, y 200m oeste, de Restaurante Rostipollos, en Trejos Montealegre, San Rafael de Escazu
ㅇ 영사콜센터 연락처(24시간/대사관 근무시간 외) : +82-2-3210-0404
- 스마트폰‘영사콜센터 무료전화앱’을 이용하면 무료로 통화 가능
ㅇ 재외동포청365 민원콜센터(24시간/대사관 근무시간 외) : +82-2-6747-0404
3. 주요 의료시설 정보
병원명 | 위치 | 상세주소 | 전화번호 | 국립 /민간 | |
1 | Hospital CIMA | San José | Autopista Próspero Fernández, San José, San Rafael | 2208-1000 | 민간 |
2 | Hospital México | San José | Frente a la Autopista General Cañas, contiguo al puente Juan Pablo Segundo, La Uruca, San José | 2242-6700 | 국립 |
3 | Hospital Fernando Escalante Pradilla | San José | Costado este del Estadio Municipal, Pérez Zeledón, San José | 2785-0700 | 국립 |
4 | Hospital Rafael Ángel Calderón Guardia | San José | Avenidas 7 y 9, calles 15 y 17, Barrio Aranjuez, San José | 2212-1000 | 국립 |
5 | Hospital San Juan de Dios | San José | Avenida cero (Paseo Colón), contiguo al Hospital Nacional de Niños, San José | 2547-8000 | 국립 |
6 | Hospital Upala | Alajuela | 100 metros antes de llegar al Colegio de Upala , Alajuela | 2470-0058 | 국립 |
7 | Hospital Carlos Luis Valverde Vega | Alajuela | 400 norte del Mercado Municipal, San Ramón, Alajuela | 2456-9700 | 국립 |
8 | Hospital de San Carlos | Alajuela | 2 kilómetros al norte de la catedral de Ciudad Quesada, San Carlos, Alajuela | 24011200 | 국립 |
9 | Hospital Los Chiles | Alajuela | 300 sur del comando Los Chiles, Alajuela | 2471-2000 | 국립 |
10 | Hospital San Francisco de Asís | Alajuela | 400 al oeste de la terminal de buses, Grecia, Alajuela | 2437-9500 | 국립 |
11 | Hospital San Rafael de Alajuela | Alajuela | Alameda Tomás Guardia, 100 sur del ICE, Alajuela | 2436-1001 | 국립 |
12 | Hospital de Ciudad Neily | Puntarenas | De la entrada principal de Ciudad Neilly 2 kilómetros carretera hacia Paso Canoas, contiguo a la gasolinera, Puntarenas | 2785-9600 | 국립 |
13 | Hospital de Golfito Manuel Mora Valverde | Puntarenas | Barrio Alameda, 400 al norte de la Iglesia católica, Golfito, Puntarenas | 2775-7900 | 국립 |
14 | Hospital de Osa Tomás Casas Casajús | Puntarenas | 500 norte de la Ecuela Ojo de Agua, Ciudad Cortes, Osa, Puntarenas | 2786-8148 | 국립 |
15 | Hospital de San Vito | Puntarenas | Barrio Tres Ríos, San Vito de Coto Brus, Puntarenas | 2773-1100 | 국립 |
16 | Hospital Maximiliano Terán Valls | Puntarenas | La Managua de Quepos, 200 sur del Aeropuerto, carretera a Dominical, Quepos, Puntarenas | 2774-9500 | 국립 |
17 | Hospital Monseñor Víctor Manuel Sanabria Martínez | Puntarenas | 400 al este de las Cabinas San Isidro, El Roble, Puntarenas | 2630-8000 | 국립 |
18 | Hospital Enrique Baltodano Briceño | Guanacaste | Liberia, Guanacaste. Barrio Moracia, contiguo a la Cruz Roja | 2690-2300 | 국립 |
19 | Hospital de La Anexión | Guanacaste | Avenida principal, frente al supermado Palí, Nicoya, Guanacaste | 2685-8400 | 국립 |
20 | Hospital William Allen Taylor | Cartago | Costado oeste de la parada de autobuses Transtusa, Turrialba | 2558-1300 | 국립 |
21 | Hospital Maximiliano Peralta Jiménez | Cartago | 300 sur del parque Central (Las Ruinas), Cartago | 2550-1999 | 국립 |
22 | Hospital San Vicente de Paúl | Heredia | 800 al sur del Palacio de los Deportes, Heredia | 2562-8100 | 국립 |
23 | Hospital Tony Facio Castro | Limón | Frente a las instalaciones del ICE, Limón | 2758-2222 | 국립 |
24 | Hospital de Guápiles | Limón | 100 metros al norte de la estación de bomberos de Guápiles | 2710-6801 | 국립 |
4. 범죄, 사건사고 관련 유의사항
최근 코스타리카는 살인·강도 등 강력범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코스타리카의 인구 10만명 당 살인율은 2024년 인구 10만명 당 16.6명으로 라틴아메리카 국가 중 8위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2022년 살인율 10만명 당 12.5명 대비 약 37% 이상 증가한 수치이며 한국의 살인율 10만명 당 0.5명 대비 매우 높은 수준입니다.
절대적인 범죄 발생 건수는 인구가 집중된 산호세 광역수도권이 가장 높지만, 과나카스테(Guanacaste), 라포르투나(La Fortuna) 등 유명 관광지 에서도 관광객 및 관광지에 주차된 차량을 대상으로 강도 및 절도 범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주차된 차량의 타이어에 구멍을 낸 후 운전자를 도와주는 척 접근하여 강도로 돌변하는 등 범죄의 유형이 다양하고 예측이 어려우니, 우리 국민들께서는 여행 시 항상 낯선 사람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최근 코스타리카 전역에서 마약 매매 및 운반 범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마약 관련 범죄에 연루되시지 않도록 타인의 물건을 호의로 맡아주시거나 운반하시는 행위는 절대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특히, 리몬(Limon) 등 카리브해 연안 지역은 지리적 여건으로 인해 최근 마약 중개지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한 마약 조직 간의 살인 등 강력범죄가 다른 지역 대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므로 동부 카리브해 지역 여행시에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야간(저녁 7시 이후)에는 가급적 외출을 자제하시기 바랍니다. 불가피하게 외출하실 때에도 도보 이동은 삼가시기 바랍니다. 특히 주요 관광지 중 하나인 산호세 중앙시장(Mercado Central de San Jose) 및 인근 지역, 유흥가는 야간에 유동인구 대비 노숙자, 부랑자가 많으므로 접근을 피하시기 바랍니다.
현지에서 외모가 눈에 띄는 동양인은 늘 범죄의 표적이 될 수 있음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여권, 현금, 휴대폰 및 귀중품은 항상 몸에 소지하거나 숙소 금고에 보관하고, 다른 사람의 눈에 띄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 차량 내에 귀중품을 두고 내리지 않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노숙인, 부랑자, 주취자 등이 거리에서 이유 없이 노려보거나 욕설 등 폭력적 성향을 보여도 대응 및 마찰을 피하고 가급적 신속하게 현장을 벗어나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불시에 총·칼 등으로 강도의 위협을 받을 때, 이에 대항하는 경우 오히려 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강도의 눈을 마주치지 마시고, 가지고 있던 가방, 지갑 등을 우선 천천히 건네주고 안전을 확보한 후에 경찰 신고 및 대사관 연락 등 조치를 취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소지한 금품을 한꺼번에 빼앗기는 일이 없도록 여러 가방과 주머니에 나누어 소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간혹 주행 중인 차량에 괴한이 돌 등을 던지고, 운전자가 이를 확인하거나 항의하기 위해 내리는 순간 강도로 돌변하여 차량 및 금품을 갈취하는 사례가 보도되고 있습니다. 만약 누군가가 차량에 해를 가한다면, 차량을 멈추지 마시고 현장을 신속히 벗어나신 후, 안전한 곳에서 경찰 및 대사관에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최근(2020년-2024년) 코스타리카 내 주요 범죄 발생 건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2022년 이후 살인 건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차량을 대상으로 한 범죄가 증가 추세입니다.
(단위 : 건)
구분/연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폭력강도 (Asaltos) | 9,875 | 9,336 | 10,375 | 10,099 | 9,759 |
대인절도 (Hurtos de Personas) | 12,213 | 14,163 | 15,584 | 14,845 | 14,936 |
주거침입절도 (Robo a Vivienda) | 11,685 | 13,377 | 12,453 | 10,622 | 9,544 |
차량내금품절도 (Tacha de Vehículos) | 3,046 | 2,980 | 3,337 | 3,013 | 3,179 |
차량강도 (Robo de Vehículo) | 3,080 | 3,355 | 4,102 | 4,138 | 4,707 |
살인 (Homicidio Doloso) | 570 | 588 | 605 | 907 | 880 |
출처: 코스타리카 범죄수사청(OIJ)
5. 자연 재해 및 풍토병 관련 유의사항
코스타리카는 ‘불의 고리’라고 불리는 환태평양 지진대에 위치합니다. 진도 4~5의 정도의 지진과 함께 화산 분출이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2025년 4월 21일, 주요 관광지 중 하나인 뽀아스(Poas) 화산이 최근 약 50년 중 가장 큰 규모로 분출하여 국립공원 접근이 통제되고 노약자·어린이 등이 호흡 곤란을 겪으며, 화산재로 인해 일부 항공편이 결항 및 지연된 사례가 있습니다(뽀아스 화산은 2025.6월 현재 ‘적색경보’에 따라 접근 통제).
열대지역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상, 4-11월 우기에 집중호우가 내리며 하천 범람, 교량 및 도로 인프라 손실, 산사태가 자주 발생하므로, 늘 여행에 유의하고 외진 지역으로 여행시에는 신중을 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 뎅기열 및 말라리아 등 열대지방 풍토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사례가 수시로 발생하므로 야외활동시 밝은 색의 긴팔 옷 착용 및 모기 기피제 사용을 권장하고, 늘 위생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코스타리카 뎅기열 및 말라리아 바이러스 발생 현황
(단위 : 건)
연도 | 뎅기열 | 말라리아 |
2020 | 10,056 | 141 |
2021 | 5,174 | 232 |
2022 | 7,485 | 457 |
2023 | 30,649 | 590 |
2024 | 30,149 | 232 |
출처 : OPS(Organizacion Panamerican de la Salud)
6. 출입국 및 통관시 유의사항
한국과 코스타리카는 사증면제 협정이 체결되어 있어 우리 국민은 코스타리카에 비자없이 최대 90일 간 체류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2023.9.8.자로 코스타리카 정부는 관광/방문 목적으로 입국시 최대 180일 간 체류를 허가하고 있습니다. 다만, 귀국 항공권(한국 혹은 제3국으로 출국하는 항공권)을 소지해야 하며 출입국 당국이 별도로 요청하는 경우 180일 간 코스타리카에 체류할 수 있는 재정능력을 보여야 합니다.
아래 국가로부터 코스타리카에 입국하실 경우 ‘황열병 예방접종 증명서’를 반드시 제시하여야 합니다. 접종은 입국 최소 10일 전에 완료되어야 합니다. 황열병 백신의 수급 문제 등으로 아래 정책은 수시로 변경 또는 잠정 중단되니, 입국하실 시점의 규정은 코스타리카 보건부 공고 확인 또는 대사관에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예외 없음(전국) ㅇ 아프리카 대륙 : 앙골라, 베냉, 부키나파소, 부룬디, 카메룬,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콩고공화국, 콩고 민주공화국, 아이보리 해안, 적도기니, 에티오피아, 프랑스령 기아나, 가봉, 감비아, 이기다, 기니, 기니비사우, 케냐, 라이베리아, 말리, 모리타니, 니제르, 나이지리아, 세네갈, 시에라리온, 남수단 공화국, 르완다, 수단, 탄자니아, 토고, 우간다, 잠비아, ㅇ 아메리카 대륙 : 볼리비아, 브라질, *에콰도르(모로나-산티아고, 나포, 오레야나, 파스타자, 수쿰비오스, 자모라-친치페), 가이아나, 프랑스령 기아나, 수리남, 베네수엘라 2. 예외 지역이 있는 국가(아래 도시로부터 입국시에는 예방 접종 불필요) ㅇ 아메리카 대륙 : 콜롬비아(바랑키야, 칼리, 카르타헤나, 메데인, 산안드레스 프로비덴시아, 보고타), *에콰도르(과야킬, 키토, 갈라파고스), 파라과이(시우다드 아순시온), 트리니다드 토바고(포르토프랭스 도시 지역. 크루즈 승객, 환승 항공기 또는 토바고 섬으로 여행 일정이 제한된 여행자에게는 권장되지 않음) ※ 접종면제 조건 : 9개월 미만 유아, 달걀 알러지 보유자, 기타 면역계 질환자, 흉선 질환자 및 의사의 진단서상 다음과 같은 사유로 황열병 예방접종이 불가한 점이 인정된 자(60세 이상, 임신, 모유 수유, 황열병 백신 거부반응 가족력, 젤라틴 과민증 또는 에이즈 질환 등) |
휴대품 통관과 관련, 코스타리카로 입국하는 모든 여행자는 수속 후 세관 검사(X-ray)를 거치게 됩니다. 아래 물품 반입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미화 1만불 상당을 초과하는 현금을 휴대하여 입·출국할 경우 반드시 세관 앞 신고 절차를 거치셔야 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코스타리카는 자국 자연환경 및 생태계 보호를 위해 엄격한 검역 및 위생 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니 과일, 육류, 채소류 등 농수산품 반입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품목명 | 통관기준 |
술 | 성인 1인당 와인, 브랜디 및 기타 주류 최대 5L |
담배 | 성인 1인당 최대 500g |
향수 | 여행의 목적과 수준에 합당한 정도의 양 |
면세 한도금액 | 상업적 목적이 아닌 의류, 보석, 핸드백, 우산, 가구, 의료, 위생 및 세면용품, 악기, 의약품, 휠체어(환자의 경우), 장난감, 스포츠용품, 책, 음반 등 여행의 목적과 수준에 합당한 정도의 양으로 휴대용만 가능 |
외국환 | 현금 및 기타금융수단(여행자수표, 증권 등) 최대 USD 10,000. 초과 반입시 세관신고서에 금액 및 금융수단 종류를 기재 |
의약품 | 개인 용도로 사용하는 의료기기 및 의약품(처방전 지참 요망) |
식품 | 여행의 목적과 수준에 합당한 정도의 양 과자, 사탕 및 초콜렛의 경우 최대 2kg |
반입불허품목 | 과일, 육류, 채소류, 무기, 마약, 중고타이어 및 스프레이 등 인화성 물질, 페인트 등 독성물질, 부식 가능성이 있는 물질, 방사성 물질 |
7. 여권·현금·항공권 분실시 유의사항
여권 분실 발견 즉시, 가까운 현지 경찰서를 찾아가 ‘여권분실증명서’를 발급 받으시기 바랍니다. 신분증(주민등록증, 여권사본 등), 경찰서가 발행한 여권분실증명서, 여권용 컬러사진, 수수료 등을 지참하여 대사관을 방문하시고, 여권발급 신청서와 여권분실 신고서 등을 작성한 후 여권 담당자에게 제출합니다.
현금, 카드를 분실·도난 당해 여행 경비가 긴급하게 필요한 경우, 신속해외송금지원제도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분증과 함께 업무시간 중 대사관을 방문하시어 신속해외송금을 신청 → 신청자의 국내 연고자가 영사콜센터를 통해 우리/농협 등 계좌로 신청 금액 입금 → 대사관이 영사콜센터를 통해 입금 금액 확인 후, 신청자에게 긴급경비를 지원합니다.
한편, 소지하신 항공권을 분실하신 경우 해당 항공사의 현지 사무실에 우선 신고하고, 인적사항 및 항공권 번호 등을 알려주어 재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여권 및 항공권 분실에 대비해 여행 전 여권과 항공권을 미리 복사해두거나, 여권번호와 발행일, 항공권 구입 여행사 연락처 등을 따로 메모해두시기 바랍니다.
8. 대중교통 및 택시 이용시 유의사항
시내버스는 배차 간격이 길고 노선이 많지 않아 매우 혼잡합니다. 소지품을 선반 위에 올리거나 방치하는 행위를 삼가시고, 절도 및 소매치기에 항상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코스타리카의 택시는 빨간색이며, 차체 상부에 TAXI 표시를 부착하고 측면에는 차량번호를 표기하고 있습니다. 길에서 직접 택시를 잡는 것보다는 호텔 또는 여행사로부터 전화예약 운송 업체를 소개받거나 우버 택시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9. 차량 운전시 유의사항
최근 언론 보도에 따르면, 코스타리카는 2023년 OECD 국가 교통사고 사망률 1위를 기록하였습니다. 코스타리카는 운전자와 보행자 모두 교통법규를 잘 준수하지 않으며, 특히 오토바이의 갓길 및 차선 중간 운행, 끼어들기로 인한 사고 발생이 빈번하므로 항상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야간에는 도로에 가로등이 없는 구간이 많고, 대부분 편도 1차선 도로이므로 사고로 정차 중인 차량과 추돌하지 않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신호등 또는 좌회전 신호가 없는 경우가 많고 ‘ALTO(멈춤)’ 및 ‘CEDA(양보)’ 표시와 일방통행로가 많으므로 교차로 진입 및 통행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차선이나 과속방지턱 표시가 지워져 식별하기 어려운 곳이 많으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도로가 패인 곳이 많으므로 차체 및 타이어 손상에 유의하시고 과속을 삼가시기 바랍니다.
신호 대기 및 상습 정체 구간에 잡상인 또는 구걸인이 운전자에게 다가와 돈을 요구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있습니다. 이를 원하지 않는 경우 창문을 닫아두시기 바라며 가급적 이들에게 시선을 두지 마시기 바랍니다.
만약 사고가 발생한 경우, 즉시 운전자 및 동승자의 안전을 우선 확보하고 보험회사에 연락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시기 바랍니다. 가능하다면 비상용 삼각대를 차량 후방에 설치하여 2차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국과 달리 블랙박스 등 영상기록장치의 증거 효력이 없으며, 사고가 발생한 현장을 보존하고 보험회사에 연락하여야 합니다.
※ 주요 보험회사 연락처
- INS : 800-800-8000 - Oceanica : 800-289-4546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